반대 측 반박-
안녕하십니까. 반대측 반박을 맡은 이찬재입니다. 찬성측에서는 때문에 통일세에 찬성한다고 합니다. 저는 세가지 근거를 들어 통일세 도입에 대해 반박하려 합니다.
첫째. 통일세라는 사고가 잘못되었습니다. 우리는 전쟁이 아닌 평화적인 방법으로 통일을 이루려고 합니다. 그러나 통일세는 체제가 다른 두 나라가 통일을 할 때 필요합니다. 이것은 한쪽의 체제에 다른 쪽의 체제를 완전히 맞추는 흡수 통일을 하자는 것입니다. 그리고 2000년 6월 15일, 대한민국의 김대중 대통령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이에 채택된 공동성명을 위반 하고 있습니다.
>민주당은 통일세를 제안한 이명박 대통령이 냉전적 사고를 벗어나지 못했다고 반박하고 있습니다. ‘맞선도 안 보고 예식장부터 잡는 격’ 남북교류 협력 기금은 3%밖에 쓰지 못하는 상황에서 세금을 걷자는 주장은 뜬금없다‘ 고 말하고 있습니다.<
일부는 통일세가 급조되었다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합니다. 이에 대한 근거로 이명박 대통령이 통일세와 관련해서 구체적인 방안을 전혀 제시 하지 않은 점을 들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대북 외교는 지장이 없다는 정치적 메시지를 던지는 측면이 있다고 합니다.
두 번째로 우리 국민들은 통일세에 대한 거부감이 매우 큽니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 (KDI)는 통일비용을 2011년부터 2040년까지 30년간 총 3,220억 달러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북한이 이명박 대통령의 공약인 비핵개방3000을 수용해 점진적인 개방을 거쳐 통일이 될 경우의 추정치입니다. <
작년 8.15광복절을 기점으로 MB정부 반환점 여론조사를 하였습니다. 이 조사에 따르면56.9%가 통일세 도입에 대해 반대 의견을 보였습니다. 연령이 낮을수록 반대 의견이 강해 19~29세의 경우 68%가 통일세를 반대했습니다. 민주당, 국민 참여당, 민주노동당 지지자들은 70%이상이 반대 했습니다. 지역별로는 호남이 67.7%로 반대 비율이 가장 높았습니다.
세번째로 통일을 위해 돈을 모으려고 하는 것 보다는 먼저 남북관계의 정상화가 우선이라고 생각합니다. 천안함 사태이후 남북관계가 극도로 경색되어 있어 통일세를 논하기 전에 남북관계 정상화와 남북협력을 먼저 실천해야 합니다.
이러한 근거로 저는 통일세 도입에 반대합니다.
찬성 측 반박
안녕하십니까. 찬성 측 반박을 맡은 이찬재입니다. 반대측에서는 때문에 통일세에 반대한다고 합니다. 저는 통일세의 진정한 의미와 통일세의 징수 방법에 대해서 생각 해 봤습니다.
2010년 8월 15일 대한민국 광복절 경축사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제안한 통일세가 대한민국 국론을 뜨겁게 달구고 있습니다.
이날 경축사를 통해 ‘통일은 반드시 온다, 이제 통일세 등 현실적인 방안도 준비해야 할 때가 됐다’며 ‘이 문제를 우리 사회 각계에서 폭넓게 논의해 주길 제안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동안 전문가들 사이에서 담론 수준에 머물렀던 통일을 국민 공론의 장으로 이끌어 내고 통일 재원을 미리 준비하기 위한 방안으로 일단 논의 해보자는 취지의 제안입니다.
통일세는 1991년 한국개발 연구원 (KDI)에 의해 처음 문제가 제기 되었습니다. 그러나 10여 년간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습니다.
과거 서독은 1990년 통일 이전 10년 동안 연간 100억 달러를 모금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일이후 독일은 20년동안 2조이상의 유로화를 추가로 지불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통일세는 통일이후 남북한 경제격차를 줄이기 위한 투자라고 청와대는 밝히고 있습니다.
미국의 월스트리트 저널은 2010년 8월 18일 자 사설에서 한국통일의 현실에서 이대통령 구상이 북한 최후에 대한 공개적인 논의의 장을 열었다고 평가했습니다. ‘통일 비용은 오래전에 논의 했어야 했던 문제로 늦은 감이 있다‘며 ’이번 구상을 계기로 한국과, 미국 중국 일본은 수십년간 500억에서 5조 달러로 추산되는 통일 비용을 어떻게 분담할지 등에 대해 진지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2010년 8.15 광복절을 기점으로 실시한 MB정부 반환점 여론 조사에서 통일세 부가 방식에 대해 조사 했습니다. 우리 국민들은 직접세 보다 채권이나 통일 복권 발행, 남북 협력기금 확대 등을 선호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반대측에서는 통일세 징수 방법에 현실성이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직접적으로 통일세를 부가하지 않더라도 조금만 시각을 바꾼다면 충분히 통일 비용을 모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낭비 에너지를 아낀아면 일년에 80조 가까운 비용이 절약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최근 들어 우리 사회에 갈등 비용이 엄청나게 많이 지불되고 있습니다. 정당한 투쟁은 우리 사회를 건전하게 만들어 주지만 과격한 시위나 불화는 많은 비용을 낭비하게 합니다. 이러한 사회적 비용을 줄여 국민 모두가 공감 할 수 있는 통일 비용을 마련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